정보마당
자재 분류

자동차 정비 용어

컨텐츠 정보

본문

가니쉬(garnish)

어떤 부분의 전체면 또는 가장자리를 덮는 장식품


가속능력(accelerating ability)

자동차가 평지주행에서 가속할 수 있는 최대 여유력으로서 발진 가속능력은 자동차의 정지태에서 변속 및 급가속으로 일정거리(200m,400m)를 또는 100㎞/h까지 가속하여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며,추월가속능력은 어느 속도에서 변속없이 가속 페달을 조작 급가속하여 어느 속도까지 걸리는 시간.


가솔린 (Gasoline)

자동차나 항공기의 엔진에 쓰는 연료. 휘발유. 끓는점이 낮은 (20~360℃) 탄화수소가 주성분. 무색 투명, 비중 약 0.7, 특유의 냄새. 세정용, 용제(공업 가솔린) 등으로도 쓰인다. 원유를

직접 증류해서 끓은점이 낮은 성분을 모은 직류 가솔린과, 끓은점이 높은 경유와 중유를 열분해, 또는 촉매를 써서 분해하여 끓는점이 낮은 탄화수소로 만든 분해 가솔린이 있다. 또, 천연가스에 포함되는 가솔린 성분을 압축하거나 경유나 흡착제에 흡수시켜서 추출한 천연 가솔, 석탄이나 일산화탄소에 수소를 반응시켜서 합성한 합성 가솔린 등도 있다.


가솔린엔진(Gasoline Engine)

연료인 가솔린과 공기를 혼합하여 압축한 다음 별도의 점화방법을 사용하여 연소시켜서 동력을 얻는 방식의 기관. 전기점화 엔진이라고도 하며,보통 흡입-압축-폭발-배기의 4행정의 과정을 거치는 4행정엔진이 대부분임. 진동과 소음이 적어 승용차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화유리(tempered glass)

보통유리는 깨지기 쉽고, 깨지면 예리한 부분이 생겨 인체에 피해를 주기 쉬운 상태가 된다. 열처리와 화학처리 등으로 깨지기 힘들게 만든 것이 강화유리이다


게스트 엔지니어링(GE guest engineering)

외주 Vendor가 직접 설계단계부터 Feasibility Study 및 설계에 참여하는 것


계기판(I/P instrument panel)

운전석의 앞쪽에 설치하는 계기, 스위치류 등의 부착장치


공기저항(air resistance)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의 공기에 의한 저항으로 공기저항계수의 식은 다음과 같다.

공기저항 Ra=kAV²

(k:공기저항계수, A:자동차 앞면 투영면적, V:공기에 대한 자동차의 상대속도


공차중량(CVW complete vehicle Curb Weight)

자동차에 사람이나 짐을 싣지 않고 연료,냉각수,윤활유등을 만재하고 운행에 필요한 기본장비(예비타이어,예비부품,공구등은 제외)를 갖춘 상태의 차량중량을 말한다

(k:공기저항계수, A:자동차 앞면 투영면적, V:공기에 대한 자동차의 상대속도)


구동력(driving force)

구동 바퀴가 자동차를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구동력을 변화시키려면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변화시켜야 한다.


구동축및구동바퀴(drive axle and drive wheel)

차동기어에서 전달된 동력은 구동축을 거쳐서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장치


그리스(grease)

감마유.광물성오일 또는 혼합오일에 비누 또는 소다비누를 혼합한 것으로서 상온에서는 반고체이고 온도상승과 더불어 액체상태로 된다.


그릴(grille)

그릴. 격자창 모양의 모양의 장식품 주로 통풍을 위하여 사용


글로브 박스(G/B glove box)

조수석 앞 대시 보드에 마련된 작은 물건을 넣기 위한 상자. 도어 안쪽에 붙은 작은 주머니는 도어 포켓이라 한다.


기어비(gear ratio)

기어 레이쇼. 한 쌍의 맞물린 기어의 잇수비로서 큰 기어의 잇수를 작은 기어의 잇수로 나눈 값. 기어비가 2 라면 돌려지는 쪽의 기어 회전 속도는 절반이 되지만 회전력(토크)은 2배가 되어 전달한다. 그 자동차의 성격에 가장 적합하도록 기어비가 배분되어 진다.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경로 유도 시스템. 비행기나 배의 항로 유도 시스템의 명칭을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에 지도와 함께 현재 위치, 진행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등을 표시하는 것.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의해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추측항법과 통신설비와 조합하여 자동차 외부로부터 정보를 이용하는 전파 항법이 있다.


냉각 팬(Cooling Fan)

라디에이터는 차가 달 리는 동안에는 바람을 받지만 저속이거나 서있을 때는 바람이 없으므로 팬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든다. 과거에는 엔진에 벨트를 연결해 돌렸으나 최근에는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전동팬을 쓴다.


냉각 핀(Cooling Fin)

공냉 엔진에는 실린더 부분에 많은 바람이 부딪치도록 핀이 달려 있다. 구형 폴크스바겐 비틀의 엔진이 대표적인 예다. 또 오토바이에 얹은 공냉 엔진의 핀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알아보기가 쉽다.


냉각수 온도 센서(Coolant Temperature Sensor, CTS)

냉각수 온도 센서는 엔진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냉간시 아이들 RPM 보상, 농후한 혼합기 공급, 점화진각등의 역할을 하고 열간시에는 전동팬을 회전시켜 준다.


냉각수(Coolant)

엔진을 순환하면서 엔진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라디에이터를 통해 흡수한 열을 방출함으로써 항상 엔진이 일정한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엔진을 냉각하는 액체. 예전에는 물만 사용했으나 요즘에는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부동액을 쓴다. 여름철에는 냉각수가 부족하면 수돗물을 보충해도 상관없지만 물만 사용하면 겨울철에 동파할 우려가 있다. 부동액을 넣은 냉각수를 쓰면 사계절 언제나 안전하게 쓸 수 있다.


냉각팬(cooling fan)

냉각팬은 보통 펌프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며 엔진앞쪽에 부착되어 강제 통풍을 시켜 냉각효과를 얻고 배기 매니홀드등의 과열을 방지한다.냉각팬은 보통 4~6개의 날개를 달고 있는 합성수지, 알루미늄 합금, 철판등으로 만들어진다.


노즈 다운(nose-down)

노즈 다운은 자동차를 제동할 때 바퀴는 정지하고 차체는 관성에 의해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앞 범퍼 부분이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노즈 스포일러(nose spoiler)

자동차의 선단에 설치되는 스포일러. 기류에 의해 노즈를 눌러, 앞바퀴의 하중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보디의 밑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부착된다. 프런트 엔진 자동차

에서는 엔진 밑의 기압이 저하하므로 라디에이터→엔진→자동차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엔진의 냉각 효율이 좋아진다. 프런트 스포일러, 에어컷 플랩, 틴 스포일러, 에어

댐, 에어 댐 스커트등 여러가지 호칭 방법이 있다.


노즈(nose)

자동차의 선단 부분을 가리키는 말. 동물에 있어서는 노즈(코)가 최선단에 있기 때문에 이같이 부름. 또한 테일은 꼬리란 말로서 자동차의 후단부를 말한다.


노즈 다운(nose-down)

노즈 다운은 자동차를 제동할 때 바퀴는 정지하고 차체는 관성에 의해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앞 범퍼 부분이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노즈 업(nose-up)

노즈업은 자동차가 출발할 때 구동 바퀴는 이동하려 하지만 차체는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 범퍼 부분이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노치 백(notch back)

자동차 모양의 하나로서, 리어 윈도와 트렁크 리드의 사이가 휘어 있어, 턱이 진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함. 뒷자석 승객의 머리 위에 공간이 넓고, 트렁크 룸이 크게 열리는 장점이 있으며, 세단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노킹(Knocking)

가솔린 엔진의 이상연소 및 이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소리. 가솔린 엔진의 폭발행정은 스파크 플러그로부터 점화되어 화염핵이 발생한다. 이 화염핵으로부터 화염이 주위로 퍼져나가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지않고 플러그로부터 떨어진 부분이 열과 압력에 의해 자연발화하여 연소실 전체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을 노킹이라고 한다 심한 경우에는 고온,고압에 의해 밸브의 손상이나 피스톤 고착의 원인이 될수있다.


뉴트럴 스티어(neutral steer)

코너링 때 언더도 아니고 오버도 아닌, 스티어링 휠을 꺾는 대로 돌아가는 특성을 말한다


니들 밸브(needle valve)

노즐 또는 관 속에 장치되어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밸브 몸체가 침상으로 되어 있다.


니들 베어링(needle bearing)

바늘 모양의 롤러 베어링. 롤러 베어링에서 롤러가 바늘처럼 가느다란 것. 변속기 및 자재이음에 사용되고 있다.






다반 클러치(multi-plate clutch)

몇 개의 구동판을 번갈아 조합한 것이며 대형 견인차 등의 특수자동차에 사용된다. 2륜자동차 등에서는 러치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소형화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더블 클러치(double clutch)

기어를 낮출 때 굴림바퀴가 록되는 것을 막고 스무드하게 엔진회전을 올리는 방법. 스포츠 드라이빙의 기초가 되는 기술 중의 하나다.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했다가 다시 클러치

에서 발을 떼고 기어를 넣는 운전법으로 클러치를 두 번 밟는다고 하여 더블 클러치라고 한다.


더블류엘(WL water line)

Car Line중 수평단면선, 바퀴 중심기준. 지면을 WL 0로 하여 DOOR OPENING의 하단선과 평행하게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100mm 등간격으로 그은 가상선 도그 클러치(dog clutch)

치합 클러치. 상시 치합식 클러치로서, 기어와 병행하여 축 방향으로 슬리브에 톱니를 가진 클러치를 장착하고, 이 클러치의 단속에 따라 기어의 변속을 행함. 클러치 모양은 개의 예리하고 튼튼한 이빨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도그 클러치라고 불리우게 되었음.


도어 로크(door lock)

차가 달릴 때는 도어를 여닫을 필요가 전혀 없어서 도어를 잠그는 메커니즘이 도어로크이다. 래치와 그와 맞물리는 스트라이커로 로크되게 한다. 보통은 실내의 노브를 눌러서 잠근다. 노브를 누른 채로 도어를 닫으면 잠기는 것을 셀프 로크, 노브를 누르고 도어를 닫아도 셀프 로크되지 않은 것은 셀프 캔슬이라 한다.


도어 미러(door mirror)

유럽과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어미러. 운전석 가까이 있는 도어에 붙인다. 프런트 펜더에 미러가 돌출되어 있으면 디자인상 매끈하지 못해서 점차로 도어미러 쪽으로 기울고 있다. 스타일상의 장점 외에 미러 면적을 크게 할수 있고, 뒤차 위치 확인과 거리도 알수있다


도어 트림(Door trim)

트림은 내장이라는 뜻. 도어 안쪽을 도어 트림, 플로어 부분은 플로어 트림이라 한다. 승객이 접촉하는 보디의 내부는 충격을 받을 때 쿠션 역할을 하도록 보통 패드가 들어 있다.


도어 힌지(door hinge)

도어를 개폐할 때 지지점이 되는 장식. 상하2개의 힌지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 강판 프레스 또는 주철제로 부시에 기름을 함유한 소결합금등을 사용하여 미끄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독립현가방식(Independent Suspension)

한바퀴의 움직임이 반대편 바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는 현가장치.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 바퀴가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며 승차감이나 안정성이 향상되게 하는 것으로서 위시본 형식과 맥퍼슨 형식으로 크게 대분할 수 있는데, 요즘 생산되는 모든 승용차는 거의 맥퍼슨 타입의 현가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동력전달장치(powertrain)

엔진의 동력(출력)을 구동 바퀴에까지 전달하는 여러 구성부품의 총칭이며, 클러치,변속기,드라이브라인, 종감속기어,차동기어장치,구동차축 및 구동바퀴 등으로 되어 있다.


동력전달효율(mechanical efficiency of power transimission)

엔진 기관에서 발생한 에너지(동력)가 축출력과 클러치, 변속기, 감속기 등의 모든 동력전달 장치를 통하여 구동륜에 전달되어 실 사용되는 에너지(동력)의 비율


동시공학(SE simultaneous engineering)

Project Management에 적용되는 새로운 Approach방법으로 Task Force Approach를 근간으로 Concept 단계부터 설계, 생산, 구매(필요시 업체), 재무, 판매 등 전 부문이 함께 공동으로 동시 개발에 참여하여 제품개발 기간 단축, Program Cost 절감, 품질 향상, 작업 용이의 결과를 가져오며, Team Approach를 Base로 운영, 종전보다 많은 시간을 제품 사양에 Define하고 Planning하는데 배정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품질은 제품개발의 디자인 시작단계에서 결정된다고 하는 것이 SE의 중요한 원리이다


뒤엔진뒤구동방식(RR rear engine reat drive)

실내공간을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동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할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크기가 작아지는 결점이 있다. (기관→클러치→변속기→종감속기어→차동기어→액슬축→바퀴)


뒤차축어셈블리(rear axle assembly)

뒤차축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것으로 종감속 기어, 차동기어 장치, 액슬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뒤현가장치(rear suspension)

일반적으로 차축현가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승용차체서는 승차기분이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독립현가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

드라이브 라인은 뒤차축 구동방식의 자동차에서 변속기의 출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변속기와 종감속 기어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출력을 전달하는 추진축과 드라이브 라인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는 슬립 이음 및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자재이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Driveshaft)

변속기로부터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축.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드럼을 압박함으로써 제동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드웰타임(Dwell time)

점화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1차측 코일의 통전시간. 통전시간이 길어지면 충전되는 에너지의 양이 많아져서, 회로의 단속시 유도되는 2차코일측의 유도 전압이 높아지므로 안정적인 점화에 유리. 너무 길어지면 점화계 부품의 내구수명을 단축시킴.


등판능력(gradability/hill climbing ability)

차량 총중량(최대 적재)상태에서 건조된 포장노면에서 정지하여 언덕길을 오를 수 있는 최대 능력으로 「tanθ」 혹은「%」단위로 표시한다.


등화장치(lighting system)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것은 대상물을 잘 보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조명기능과 다른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 적을 하는 신호기능이다.


디디알(DDR Diagnostic Data Reader)

ECM의 컨넥터에 연결,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고장진단을 용이하게 하는 장비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

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붙잡아 제동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

점화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각 기통에 분배하는 기구. 디스트리뷰터내의 로터(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점화 순서대로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배선에 연결한다


디젤링(Dieseling)

가솔린엔진에서 점화 중단 후에도 연소가 계속되어 엔진이 회전하는 현상으로, 연소실이 고온일 경우 또는 비정상적으로 흡기압력이 높을 때 발생할 수 있으나, 전자제어 시스템에서는 점화 중단시 연료분사도 중단되므로 거의 발생하지 않음.


디젤엔진(Diesel Engine)

연료인 디젤유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자연발화를 이용하여, 별도의 점화방법없이, 압축된 공기중에 연료를 분사하여 폭발시킴으로써 동력을 얻는 방식의 엔진. 역시 4행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혼합기를 압축하는 통상의 가솔린엔진과 달리 압축 후에 연료를 분사하여 폭발에 이르게 함. 저속에서의 동력성능이 좋아 상용차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음.


디지털 미터(Digital meter)

시계처럼 바늘로 숫자를 가리키게 한 것이 아날로그식이고 숫자와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것이 디지털식이다. 80년대 이후 디지털 계기판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발광 다이오드, 형광 표시판, 액정 등을 이용해 디지털 표시를 한다.


디퍼렌셜(Differential)

차동기어. 좌,우측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기어 조합장치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e)

바람을 쏘여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 라디에이터는 흔히 차의 앞면에 있지만 그 앞에 다시 차의 얼굴이라고 할 그릴이 있다. 그릴은 격자(格子)라는 뜻이다. 이 라디에이터 그릴 부분이 차 전체의 인상을 결정지을 만큼 정성들인 디자인으로 되어 차의 개성을 보이고 있다. 헤이라이트 부분까지 더해 프런트 마스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라디에이터(Radiator)

엔진의 열로 뜨거워진 냉각수를 식혀 주는 방열기를 말한다. 엔진을 순환하여 뜨거워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대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춰지게 된다. 방열량과 냉각수량등의 영향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6~8도 정도의 온도저하를 얻게 되어 있다.


1. 수냉식 엔진에서 열을 공기 중에 방출하기 위한 장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에서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냉각한다. 엔진에서 뜨거워진 냉각수를 방열판에 통과시켜 공기와 접촉하게하여 냉각시키며, 단위 면적당 방열량이 크며 공기 및 냉각수의 흐름 저항이 적고 가벼우며 견고하여야 한다. 보통 자동차 앞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에 의하여 열

을 식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2. 차실 내의 난방에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열원이 되는 부분.



락 실린더(L/CYL lock cylindar)

자동차 도어와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이를 개폐하기 위해 키를 꽂아 사용하는 부품.


럼버 서포트

차의 카탈로그를 보면 '운전석 럼버 서포트 적용'이라는 말이 가끔 등장한다. 중형소형차 이상에 옵션 또는 기본으로 달려 있는 장비다. 좌석의 허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레버로 조정 할 수 있게 만든 편의 장비.


레스폰스(response)

레스폰스는 운전자가 차를 조작할 때 나타나는 반응을 말한다. 레스폰스가 민감하다, 둔하다는 표현은 반응이 좋다, 나쁘다는 뜻이다. 보통 가속성능과 핸들링을 표현할 때 쓴다.


렌더링(rendering)

Sketch DWG. 작업 개념


로드 홀딩(road holding)

주행중인 차의 접지성을 표현하는 말로 로드는 도로, 홀딩은 접지성(接地性)을 가리킨다. 특히 고속과 코너링 때 차체의 움직임이 안정되어 있고 차의 방향 안정성이 좋으면 '로드 홀딩 능력이 좋다, 뛰어나다'는 표현을 쓴다.


로드센싱 프로포셔닝 밸브(LSPV load sensing proportioning valve)

앞뒤 바퀴의 제동력 평형 유지 밸브.


로드스터(roadster)

컨버터블 2도어이고 좌석은 1열형이다. 컨버터블 쿠페와 거의 비슷하며 뒷쪽은 큰화물실로 되어 있고 여기에 보조석을 둔 것도 있다.스포츠 차에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다.


로터리 엔진 (로터, rotary) -- 엔진

로터리 하우징 안에서 로터가 회전되고, 그곳에 생긴 3 개소의 공간을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사이클에 활용하는 시스템. 피스톤의 왕복 운동 없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므로 고회전 고출력을 얻기 쉽다. 단지 연비가 나쁜 것이 결점. 로터가 2 개탑재된 2 로터가 일반적이나 3 로터를 탑재한 경우도 있다.


록업 컨버터(Lock-up Converter)

컨버터의 유체커플링을 거치지 않는 기계적인 클러치를 가진 자동변속기. 고속에서 유체를 통한 동력 전달에 따르는 에너지손실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임.


롤 테스터(roller tester)

완성차를 좁은 공간에서 도로조건과 동일하게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


루프(Roof)

집에서 지붕에 해당하는 차량 상판. A-Pillar,B-Pillar,C-Pillar등으로 지지되고 있다.


리무진(limousine)

독일에서는 보통 승용차를 리무진이라고 한다. 그러나 미국식으로 부를 때는 형태상 운전석과 뒷자석 사이를 유리로 칸막이한 VIP용 호화차를 리무진이라 부른다. 독일에서는 이런 형식은 풀만 리무진이라 한다. 자동차회사가 쓰는 형식명이다.


리버스 스티어(reverse steer)

코너링 때 어느 지점까지는 언더스티어 경향을 나타내고 도중에서 오버스티어로 변하는 특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약한 언더스티어인 차가 급격한 코너를 선회하면서 얼라인먼트가 변화해 오버스티어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 스티어 특성이 변하는 지점을 리버스 포인트라고 한다.


리어 앤드 토크(rear and torque)

엔진출력이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구동바퀴를 돌리면 구동축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용된다. 이 작용력을 리어 앤드 토크라 한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

차 뒤쪽에 붙어 있는 램프의 총칭. 후진 기어를 넣을 때 켜지는 백램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켜지는 브레이크 램프, 윙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일체식으로 한꺼번에 디자인

해 놓은 것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라고 부른다. 번호판을 비추는 램프는 라이선스 플레이트 램프라고 한다.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rigid axle suspension)

간단하게 리지드 액슬이라고도 부른다. 양끝에 휠을 설치한 차축을 스프링 중간에 두고 차체에 설치하는 타입의 서스펜션으로서 승용 자동차의 차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일체차축식 현가장치)


리트랙터블 헤드 램프(retractable head lamp)

리트랙터블이란'끌어당겨지다'라는 뜻이며 보통 펜더나 프런트 그릴 등에 수납되어 있으며 필요할 때만 개를 벗기고,점등시키는 형식의 헤드라이트. 라이트의 스페이스가 적어지며 스마트한 디자인이 가능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스포츠카에 이용


림(rim)

바퀴의 일부로서 타이어를 장착하는 부분. 타이어와 같이 국제성이 강한 자동차 부품으로서 각 나라마다 같은 규격을 결정하고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양과 구조에 따라 경자동차나 산업 차량에 많이 사용하는 2분할 림과 대부분 승용차에 사용하는 와이드 베이스 드롭 센터림, 트럭용의 드롭 센터림, 플랫 센터림 등으로 분류된다.





마력(HP,Horsepower)

엔진에서 발생되는 힘을 표시하는 단위


맥퍼슨 스트러트(MacPherson Strut)

완충기와 스프링이 결합된 형태의 것으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앞바퀴굴림형의 차량에서 사용된다.


맥퍼슨(mcpherson)

Front Suspension ASS'Y의 유형


머플러(muffler)

소음기. 엔진의 연소가스를 직접 밖으로 내보내면 폭음이 되므로 이 장치를 통하여 음을 작게 한다. 소음의 수단으로는 배기관 도중에 팽창실을 설치하여 내벽간의 음파 반사나 공명현상

을 이용하여 음을 감쇠하거나 배기가스의 통로에 음파와의 마찰에 의하여 음향에너지를 작게 하는 흡음재(글라스울이 일반적)를 넣는 방법을 취한다. '사일런서'라고도 함.


모노코크 보디(Monocock body)

모노코크 보디는 새시와 프레임을 따로 쓰지 않고 보디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모노코크 보디를 쓰면 차체가 가볍고 외부의 힘을 보디 전체로 받기 때문에 충돌했을 때, 에너지 흡수가 쉽기에 프레임을 쓴 차체보다 안전성이 높다. 프레임은 자동차의 뼈대 구실을 하는 것으로 안전성과 큰 관계가 있다. 사다리형 프레임, X자형 프레임, 백본 프레임 등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요즘 차는 프레임 없이 바로 자동차 형체를 만드는 모노코크 보디가 주로 쓰인다.


모델 이어(MY model year)

구미에서 연비나 배출가스규제 법규에 따라 적용되어 사용되는 자동차의 제조년도. 나라마다 다르지만 미국에서는 당해년도 1월1일부터 12월31일, 또는 1월1일을 포함한 1년간으로서 메이커가 임의로 정하는 일자.



몰딩(moulding)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등의 주위에 붙이는 금속광택과 검은 광택을 지우기 위한 장식적인 것, 액자의 테두리와 같은 것으로 장식뿐 아니라 이음새를 덮고, 손과 손가락의 보호, 다른 부품과의 사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구실도 하고 있다. 금속 몰딩 외에 수지로 된 것이 있고 보디 외면뿐 아니라 대시보드와 도어의 내장 등에도 쓰인다.


무빙 파트(moving part)

어느 고정점을 중심으로 스윙운동을 하는 작동메카니즘의 부품으로서 엔진동력에 의해 움직이는 구동 부품들과는 구별된다. 이 부품들은 다양한 메카니즘을 갖고 있어 수많은 부품들의 결합되어 있어 안락하고 편안한 조작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 Moving Part는 Rotary Type으로 Side Door, Side Swing Type Tail Gate가 있으며, Lift-up Type으로 Hood,

Trunk Lid, Liftup Tail Gate이 있고 그밖에 Wiper등이 있다.





바디,보디 (Body)

자동차에서 승객,엔진,화물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일체의 완비된 유닛을 가르킨다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모아 배기 파이프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린더 헤드에 볼트로 부착되어 있고, 산소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배기관(Exhaust Pipe)

배기개스를 통과시키는 파이프로 배기 매니폴드의 뒷부분에 붙어 있다. 파이프는 굵고 구부러진 부분이 적을수록 저항이 작지만 차의 바닥부분을 지나기 때문에 파이프를 두 개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밸런스샤프트 (Balance Shaft)

엔진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축


밸브(Valve)

각 실린더의 공기의 흡입,배출을 제어하는 기구. 공기의 흡입에 관여하는 흡입밸브와 연소 후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밸브가 있으며, 각 기통당 밸브의 숫자가 많으면, 고속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므로 성능향상에 효과가 있다.


버킷 시트(Bucket seat)

타는 사람 하나하나를 위해 독립시켜 몸이 좌석에 꼭 맞게 만들어 놓은 시트. 요즘 승용차의 앞좌석은 보통 이런 타입으로 되어 있다.


범퍼(bumper)

차 앞뒤에서 보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된 장치로 충돌했을때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예전에는 철제로 보디보다 조금 나와 있을 정도였으나, 요즘에는 에너지 흡수범퍼가 일반화되어 있다. 우레탄 등을 써서 충격 흡수력을 크게 하고 있으나 보디와 일체화된 디자인 등으로 장식까지 겸하는 부품으로 되어 있다.


베이퍼 록(vapor lock)

액체를 사용한 계통에서 열에 의하여 액체가 증기로 되어 어떤 부분이 폐쇄되므로 2계통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 브레이크 오일은 비등하기 어려운 액체를 사용하지만, 브레이크를 많이 사용하여 본체가 과열되면 섭씨 수백도까지 되는 일도 있다. 이 열이 전해져 오일도 고온이 되면 오일이 비등하여 기체가 발생하는데, 물이 비등하여 수증기를 내는 것과 같다. 유압경로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이 기체는 기포로 된다. 이 기포는 강한 힘을 가하면 쉽게 수축된다. 즉, 유압경로에 힘을 가하면 기포가 수축 될 뿐 충분한 힘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베이퍼록 현상이라 하는데 브 레이크 사용불능이 된다. 내리막 길에서 브레이크를 많이 쓰지 말라고 하는 것은 베이퍼 록 현상의 원인인 과열을 막기 위해서이다.


벤틸레이터(ventilation)

공기 흡입구. 대시 보드의 양쪽에 있다. 바깥공기를 차안에 끌어들여 실내를 환기하며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는 라디에이터 그릴에서 덕트를 통과한다.


벨트 (Belt)

두 회전축사이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기구 중의 하나. 예로는 엔진내의 캠축 구동,냉각수 펌프 구동 등을 들 수 있다.


변속기(transmission)

클러치와 추진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켜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를 후진하게 하는 역할을 갖고있는 장치이다.


변속비(transmission gear ratio)

변속기에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수의 비이며 주행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 트랜스미션이나 종감속 기어에 의하여 회전수를 얼마나 변하게 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 보이는 것.


보닛(Bonnet)

차 앞부분에 있는 엔진부 위에서 열고 닫히는 철판을 말하고 앞쪽에서 열리는 것과 뒤쪽에서 열리는 것이 있다. 앞쪽에서 열리는 보네트는 엔진룸의 작업이 수월하나 잘못되어 주행중에 열리 면 위험해진다. 뒤쪽에서 열리는 후드는 이와 거꾸로이다.


보디 사이드 트림(body side trim)

트림은 내장을 말한다. 승객이 접촉하는 보디 내부의 부분은 충격 때 쿠션 역할을 하도록 패드 재료가 채워지고 몰딩도 쓰고 있다. 또 도어 안쪽은 도어 트림으로 플로어 부분은 플로어 트림이라 한다.


보디 쉘(body shell)

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한 도어, 엔진 점검을 위해 여는 보네트, 뒷부분의 트렁크 뚜껑등 차의 여닫는 부분은 차체의 바깥쪽에 있다. 이들을 제외한 바깥면 부분을 보디 쉘이라 총칭한다. 따라서 펜더와 천정도 보디 쉘에 포함된다. Body Shell은 Front Body, Under Body, Rear Body로 크게 나눌수 있다


보어(Bore)

엔진 실린더의 직경.


보우 라인(BL bow line)

Car Line중 측 단면선, 착폭중심기준


봄베(bombe)

압축가스,액화가슬를 저장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원통형의 내압 용기. 일반적으로 두꺼운 강철로 만들어진 긴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장부에 가스 분출구가 있고 감압밸브가 장치되어 있다.


부분강화유리(parts strengthened glass)

강화유리가 파손되었을 때, 시야가 가려진다는 결점을 보충한 것이다. 운전자의 시야확보에서 중요한 중양부분을 강화 처리하기 위해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렇게 하면 파손될 때 중앙부의 파편만이 거칠게 되어 앞창유리로 쓸 수 있다.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

허브와 휠 사이의 휠 허브(wheel hub)에 볼트로 설치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하며 슈와의 마찰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활을 한다.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

드럼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드럼에 접촉함으로써 차량을 감속시키는 마찰재로, 마모정도가 심하면 교환해야 한다.


브레이크 장치(brake system)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고 정차시키거나 정차중인 차량의 자유이동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가 있으며 풋 브레이크는 마스터 실린더, 휠 실린더, 브레이크 드럼(또는 디스크)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파이프 등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디스크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차량을 감속시키는 마찰재로, 마모 정도가 심하면 교환해야 한다


브레이크 페이드(fade)

페이드 현상이란, 드럼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 슈의 표면에 있는 라이닝등이 일으키는 열 변화를 말한다.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드럼과 라이닝이 마찰하여 고열이 발생하는데 그 상태가 계속되면 라이닝이 열 변화를 일으켜 극단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아진다. 즉 미끌미끌한 상태가 되어, 제동 능력이 떨어진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제동 불능이 된다. 긴 내리막 길에서 브레이크를 많이 쓰지 않도록 하 는 것은 베이퍼 록 현상뿐 아니라,

페이드 현상도 무섭기 때문이다. 더구나,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는 디스크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열이 높아지기 어렵지만, 일

단 고열이 되면 디스크 브레이크라도 페이드 현상이 생긴다.


블로커 링(blocker ring)

오버드라이브 기구의 선기어와 짝이 되어 있는 보크링


비딩(beading)

재료에 장식, 보강 등의 목적으로 미세한 돌기를 만드는 가공


비-필라(B-Pillar)

자동차의 앞문(Front Door)과 뒷문(Rear Door)사이에 있는 차량상판의 지지대.





사이드 보디(side body)

사이드 보디는 자동차의 옆면, 즉 도어 둘레를 말한다. 차가 뒤집히거나 옆쪽에 충격을 받았을 때 변형이 적도록 설계하고 승객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제작한다.


사이드 임팩트(Side Impact)

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어내부에 설치한 구조물.


삼원 촉매장치(Catalytic Converter)

엔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유해가스성분을 정화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로, 가솔린엔진의 경우 탄화수소,일산화탄소,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정화하는 삼원촉매를 사용하며, 디젤엔진의 경우는 입자상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산화촉매를 주로 사용한다.


상사점(Top Dead Center)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지점.



샤시,새시(chassis)

자동차에서 보디와 그 부속품을 제외한 부분이다. 엔진, 동력전달장치, 서스펜션, 스티어링장치, 브레이크장치, 주행장치등을 가리킨다.


서드 기어(third gear)

3속. 전진3단(three-speed transmission)의 트랜스미션 설치 자동차에서는 톱기어로서 주행중 빈번히 사용되는 기어. 전진4단 이상의 자동차에서는 추월할 때 가속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저속 주행이나

등판 또는 내리막길에서 엔진 브레이크로도 이용된다. 기어비는 전진 3단의 경우에는 엔진 직결의 1, 전진 4단 이상의 자동차에서는 1.3에서 1.5정도가 보통이다



서머스탯, 온도조절장치(Thermostat)

엔진은 지나치게 뜨거워도 안되지만 너무 차도 안된다. 엔진이 차가우면 휘발유가 제대로 기화되지 않아 점화가 어렵고 연료 소모도 많아진다. 따라서 엔진이 차가울 때는 냉각수가 돌지 않아야 하고, 적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돌아야 한다. 이러한 조절기능을 가진 자동밸브가 서머스탯이다. 서머스탯은 보통 80~90도씨에서 작동하며, 지역에 따라(기온의 영향을 고려) 작동하는 온도가 조금씩 다르다.



서스펜션, 현가장치(Suspension)

현가장치.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분류하면 좌우의 바퀴를 차축으로 연결한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과 좌우 바퀴가 각각 작동하는 인디펜던트 서스펜션이 있다.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에는 평행 리프 스프링식, 드디옹식, 링크식, 토크 튜브 드라이브식등이 있고, 인디펜던트 서스펜션에서는 스윙 암식, 더블 위시본식, 맥퍼슨 스트럿식 등이 있다. 특수한 서스펜션으로는 유체에 의하여 힘을 전달하는 공기 스프링식이나 유체 스프링식도 있다


서지 탱크(Surge Tank)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각 기통에 균등하게 하고 또한 연소실내로의 공기흡입을 원활하게 하는 흡기계 부품으로,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 사이를 연결한다.


선 바이저(sun visor)

운전자의 눈을 태양의 직사로부터 지켜주기 위한 햇빛 가리개, 보통 때는 앞창 위에 접어두었다 햇빛이 들어오면 펴서 가린다.


세단(sedan)

세단은 미국식 승용차의 총칭, 같은 승용차를 영국에서는 사롱, 프랑스에서는 베를리느, 이태리에서는 베를리나,독일에서는 리무진이라 부른다. 형태의 정의는 그다지 엄밀하지 않아 으뜸가는 용도는 타는 것으로, 그밖의 특징있는 타이프에 속하지 않을 때 쓴다. 일반적으로 2도어, 4도어, 5도어 등 도어의 수로 전체의 모양을 나타낸다.


소음기(Muffler)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하면, 가스가 급격히 팽창해 심한 폭발음을 내므로, 배출전에 소음기를 통해 압력과 온도를 내려 조용히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어 있다.


송풍기(blower)

에어컨의 송풍기는 저온화된 증발기에 공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대기 중의 공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모터에 의해 팬을 회전시켜 증발기 주위로 공기를 통과시킨다. 이 때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저온 제습 공기로 변화되어 실내로 유입되므로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킨다


쇽 업쇼바(shock absorber)

쇽업쇼바는 충격흡수장치로서 진동을 급속히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자동차의 안전성과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쇽업쇼버는 현가장치와 차체 사이에 설치된다. (=damper)


수온계와 유온계

Ip상에서 뜨거워진 엔진을 식히기 위해 사용하는 물과 오일의 온도를 나타내는 계기. 둘을 합쳐 온도계라 한다. 온도계를 통해 엔진의 컨디션을 살필 수 있다.


슈라우드(shroud)

라디에이터와 냉각팬을 감싸고 있는 판. 공기의 흐름을 도와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고 배기 다기관의 과열을 방지한다.


슈퍼 차저(Supercharger)

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공기펌프를 사용하여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더 많은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장치.


스냅링(snap ring)

축 또는 보스에 구멍을 파놓은 홈에 끼워 핀이나 축에 설치한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리양의 링으로서 자동차의 부품에는 많이 사용된다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하중이 축을 따라서 가해지는 베어링. 수직형에는 피봇 베어링. 푸트스텝 베어링이 있고, 수평형에는 칼라 베어링이 있다. 또 특수한 것으로는 미첼 스러스트 베어링이 있다.


스타일링(styling)

Design Concept이 결정된 후 차의 외형 및 내장을 구성하는 작업으로 공학적 설계나 기술보다는 미적. 기능적 디자인의 측면이 강하다.


스타터(Starter)

엔진의 시동을 위하여 크랭크샤프트를 돌리는 장치.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로 구동됨.


스타터 모터(Starter Motor)

스타터 모터는 그 종류에 따라 구조가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구조나 작동은 대체로 같다. 스타터 모터의 구조는 회전력을 발생 시키는 모터부, 회전력을 엔진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기부, 피니언을 섭동시켜 링기어에 물리게 해주는 마그네트 스위치부 등 3부분으로 구분된다.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 '비틀림 봉 스프링(토션 바), 으로서 앞뒤 바퀴 모두에 사용된다. 토션 바의 양끝을 좌우의 서스펜션(보통은 로 암)에 부착하고 좌우 바퀴

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한다. 예를 들면, 코너링을 할 때 바깥쪽 바퀴가 부딪히거나 안쪽 바퀴가 튀어오르는데 이 때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

울기를 줄인다. 그러나 좌우바퀴가 동시에 충격 또는 리바운드 할 때는 작용하지 않는다. 앞바퀴에 스태빌라이저를 부착하면 언더 스티어를 증가시키고, 뒷바퀴에 부착하면 오버 스티어의 경향을 가지게 된다. 앤티롤 바 또는 스웨이바라고도 한다. 레이싱카에는 불가결한 것이지만, 시판용 자동차에도 장착되는 것이 많다. (=앤티롤 바)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주행중 타이어 트래드에 일어나는 변형과 그 변형의 복원운동을 되풀이 하면서 회전한다. 그러나 주행속도가 빠르면 바퀴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므로 트래드부의 변형이 복원되기 이전에 다음의 변형을 맞이하게 되어, 타이어의 트래드부가 물결모양으로 떠는 현상이 일어난다. 타이어에 스텐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하면, 트래드부의 고무가 떨어져 나가며 심하면 타이어가

파열되는 대단히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표준공기압 보다 10~30%높인다.


스테이션왜건(station wagon)

왜건은 포장마차,스테이션 왜건은 역마차로 모두가 미국식으로 사람과 짐을 싣는 다용도의 보디를 가진 보네트형 차를 말한다. 흔히 세단의 보디를 눌러서 스테이션 왜건을 만든다. 목조 보디시대의 자취로 외판에 나무결을 흉내낸 도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같은 차를 영 국에서는 에스테이트(Estate), 프랑스에서는 브레이크, 독일에서는 콤비라 부른다


스티어링(steering)

조향장치. 타이어의 방향을 조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스티어링 휠을 가리킬 때도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 타입에 따라 리서큘레이팅 볼식, 래크 앤드 피니언식, 웜 섹터식, 웜 섹터 롤러식 등으로 분류된다.


스파크 플러그(Spark Plug)

가솔린엔진에서 혼합기의 점화에 필요한 전기불꽃을 일으키는 부품.


스포일러(spoiler)

스포일은 물건을 못쓰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스포일러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써 차체 주변의 기류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것. 날개 양면에 공기를 흐르게 하여 효과를 얻는 것

에 비해 스포일러는 한면에만 공력 효과를 구한다.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따라 자동차 전단은 노즈 스포일러, 루프 또는 루프 스포일러, 후단에 있는 것은 테일 스포일러라고 부름.스포일

러는 공기의 방해를 막을 뿐 아니라 멋을 더해주는 옵션으로 다는 사람이 많다.


스피드 리미터(speed limiter)

엔진이 과회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허용 회전수를 넘으면 그 이상 돌아가지 않도록 점화계통이나 연료계통을 끊어버리는 안전 장치. 보통 높은 속력을 내는 스포츠카에 스피드 리미터가 쓰인다.


스피드미터(Speed meter)

자동차의 속도를 나타내는 계기. 우리나라, 일본, 독일, 등은 km/h로 나타내고 미국에서는 마일/h를 쓴다. 속도표시와 오차는 5% 내외로, 실제보다 빠른 속도가 계기판에 나타나는 경우

가 많다. 속도계에는 주행거리의 합계를 표시하는 적산계와 과속 경보장치가 내장된 것도 있다. 경보장치가 있는 차는 시속 100km를 넘을 경우 소리와 빛으로 경고한다. 차의 한계 속도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은 속도계 바늘이 시속 180km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독일의 벤츠와 BMW는 최고시속 250km 이상 내지 않도록 이 기준에 맞추어 차를 만들고 있다.


스핀(spin)

차가 컨트롤 능력을 잃고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가속을 하면서 코너링할 때 타이어 접지력이 한계를 넘어서면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스핀상태인 차를 순간적으로 바로잡는 운전 테크닉은 없다.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bar, 앤티롤 바, anti roll bar) --

현가장치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 '비틀림 봉 스프링(토션 바), 으로서 앞뒤 바퀴 모두에 사용된다. 토션 바의 양끝을 좌우의 서스펜션(보통은 로 암)에 부착하고

좌우 바퀴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한다. 예를 들면, 코너링을 할 때 바깥쪽 바퀴가 부딪히거나 안쪽 바퀴가 튀어오르는데 이 때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줄인다. 그러나 좌우바퀴가 동시에 충격 또는 리바운드 할 때는 작용하지 않는다. 앞바퀴에 스태빌라이저를 부착하면 언더 스티어를 증가시키고, 뒷바퀴에 부착하면 오버 스티어의 경향을 가지게 된다. 앤티롤 바 또는 스웨이바라고도 한다. 레이싱카에는 불가결한 것이지만, 시판용 자동차에도 장착되는 것이 많다.


쓰로틀 바디(Throttle Body)

액셀레이터 페달과 연결되어, 운전자의 의도대로 엔진으로의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기구. 내부는 공기흐름의 통로를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다.


쓰리리터카(3L Car)

3l카란 3l의 기름으로 100km를 달리는 초고연비 차를 의미하는말이며, 이를 일반적인 연비표시 기준으로 바뀌보면 무려 33.33km/l에 달한다.

양산화된 최초의 3l카는 지난해 3월 출시된 폴크스바겐 루포로써, 루포는 3기통 1.2l 디젤 터보엔진에 세미오토매틱 기어를 쓰고 있다. 디젤엔진을 택한 이유는 열 효율이 뛰어나 같은 수

준의 휘발유 엔진보다연비가 1.5배 가량 좋아서이며 3기통은 4 기통보다 마찰저항이 작고 연소실의 크기와 형태가 적당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 차가 기록적인 연비를 내는데는 각 실린더마다 기계식 연료펌프에 전자제어장치를 단 '펌프 인젝터'를 장착, 연소효율을 크게 높인게 주효했으며 또 연료소모를 막기위해 차가 정지한 뒤 4초 뒤에는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고액셀페달을 밟으면 다시 시동이 걸리는 신기술 등을 대거 채택하고 있다. 무게에도 신경을 써 차체 곳곳에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경량소재를쓰고 특수소재의 전용 타이어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기술이 동원됐다.


쓰리박스(3-box)

Noch Back Sedan Style의 승용차로 특히 차실을 중시한다.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

소형 승합. 즉 봉고, 베스타, 그레이스 차량등에서 볼 수 있는 보디 측면의 문을 후방으로 여닫는 미닫이 형식의 도어. 개구부가 넓고 자동차 측면의 스페이스가 적은 장소에서 승강이 편리한 도어.


시에프시(CFC)

프레온 가스, 오존층 파괴를 일으키는 규제 대상 물질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er)

운전자(또는 승객)의 체위에 맞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후 좌우,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를 말하며 각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시트 커버(seat cover)

포장, 표면, 외형의 역할을 하며 안락감을 부여하는데 재질로는 자연섬유, 인공섬유가 있으나 최근 자연섬유에 인공섬유와 실을 종합하여 커버로 사용하고 있으며 양호한 질감을 얻기 위 해 울이나 천연가죽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시트 프레임(seat frame)

시트의 골격으로서 파이프, 와이어, 금속이나 플라스틱 판으로 만들어진 부분.


실내치수(interior diemensions of body)

자동차 실내의 각종 치수도 거주성과 운전 조작성에 기준이 되며 길이는 계기판으로부터 최후부 좌석 뒤끝까지, 폭은 객실 중앙부의 최대 폭, 높이는 차량중심선 부근의 바닥면부터 천정까지의 길이.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엔진의 몸체로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요구 됨.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

엔진의 상부로 실린더 블럭과는 헤드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피스톤의 상면과 함께 연소실을 구성하며 밸브,캠샤프트등이 결합된다


실린더, 기통(Cylinder)

흡입,압축,폭발,배기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곳. 4기통이라 함은 엔진내에 이것이 4개라는 것을 말함.


씨-필라(C-Pillar)

가장 뒷쪽의 옆유리창과 뒷유리창 사이의 차량 상판 지지대.





언더 스티어링(under steering)

언더는 부족, 스티어는 조종 및 조타의 뜻이다. 오우버 스티어링의 반대로 뒷바퀴에 발생하는 코오너링 FORCE가 크게 되면 오른쪽방향의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선회반경이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자동차가 코너링할 때의 현상으로 가속했을 때 목표보다 바깥쪽으로 나가 버리는 것이 언더스티어이다.


오버 스티어링(over steering)

오버는 지나침, 스티어는 조종 및 조타의 뜻이다. 앞바퀴에 발생하는 코오너링 FORCE가 크게 되면 왼쪽 방향의 모멘트가 뒷바퀴보다 커져 조향각을 일정하게 하여도 자동차의 앞쪽이 안으로 움직여 선회 반경이 작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자동차가 코너링할 때의 현상으로 가속했을 때 목표보다 바깥쪽으로 나가 버리는 것이 언더스티어이고 반대로 안쪽으로 꺾어들려는 현상이 오버스티어다


아웃 인 아웃(out in out)

코너를 돌 때는 원심력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같은 속도라면 코너의 반경이 클수록 원심력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그래서 코너 입구에서는 바깥쪽(out), 중앙에서 안쪽(in), 출구에서는 다시 바깥쪽(out)을 지나면 반경이 가장 커진다. 이렇게 큰 원을 그리면 코너링이 쉽다. 그러나 일반 도로에서는 맞은편에서 차가 오는지 잘 살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중앙선을 넘는 것

은 삼가도록 한다.


아이들링(idling)

공회전. 아이들은 일을 하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엔진의 회전수는 엔진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저속도다.


안개등(fog lamp)

보조등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이름 그대로 안개 등으로 시계가 나빠졌을 때 쓴다. 헤드램프보다는 가까운 것을 조명하지만 폭넣게 빛이 번지고 대형차로부터의 확인이라는 점에서도 뛰어난다. 엷은 황색등이 많고 범퍼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단다.


안티-롤 바 (Anti-Roll Bar)

Stabilizer Bar (스태빌라이저 바 )


알로이 휠 (Alloy wheel)

비철금속, 보통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휠을 말하며, 경량화와 강도보강을 위하여 사용한다


알브이(RV recreational vehicle)

재생을 의미하는 리크리에이트에서 나온 말. 스포츠나 게임 등 야외에서 오락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오프로드 (off road:도로 이외에 고르지 못한 땅)를 주행하기 위한 4WD(4륜구동)로 한 것과 간단한 취사를 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춘 것도 있다.


알터네이터 (Alternator)

회전에너지를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 차량의 전기시스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며, 밧데리 충전도 담당한다.


암 레스트(arm rest)

승객이 차속에서 평안한 자세가 되도록 팔꿈치를 올려놓게 한 것. 일반적으로 도어의 안쪽 부분에 붙어있고 뒷자석의 중앙에 위치하여 등받이 부분과 함께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압축비(Compression Ratio)

실린더에 흡입된 공기가 실린더 내에서 압축되는 비율. 피스톤이 가장 낮은 위치인 하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내 체적을 피스톤이 가장 높은 위치인 상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 내의 체적으로 나눈 비율. 압축비가 높으면 엔진의 효율이 좋아지나 노킹이 일어나기 쉽다.


앞엔진 뒤구동 방식(FR front engine rear drive)

조종장치와 구동장치가 분리되어 구조상 유리하다.(기관→클러치→변속기→드라이브라인→종감속기어→차동기어→액슬축→바퀴)


앞엔진 앞구동 방식(FF front engine front drive)

실내공간이 넓어지고 무게가 가벼워 경제성과 4바퀴 현가장치로 험로에서 조종성능이 좋으나 조종장치와 구동장치가 한 곳에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다.(기관→클러치→변속기→종감속기어→차동기어→액슬축→바퀴)


앞현가장치(front suspension)

프레임과 차축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바퀴의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조향기구의 일부를 설치하고 있는 장치이다.


애커먼 장토 방식(ackerman-jeantaud type)

영국의 애커먼이 특허를 얻고, 다시 1878년 프랑스의 장토에 의하여 개량된 스티어링 기구의 이론이다. 원심력을 무시할 수 있는 최저 속도로 타이어에 사이드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자동차가 선회하기 위해서 각 바퀴가 공통의 선회중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좌우 앞바퀴의 차축 연장선이 리지드 액슬의 뒷바퀴 차축 연장선상에서 교차토록 한 것.


액셀 워크(accel work)

액셀 페달 밟기. 달리는 중 액셀 페달을 밟는 기술은 운전 테크닉의 기본이라고 할 만큼 중요하다. 액셀 워크로 차의 속도를 바꾸고 구동력을 조절해 차의 방향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운전을 잘 하려면 액셀 페달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액슬 박스(axle box)

축함은 그속에 베어링을 내장하고, 축함 지지대와 함께 차체의 윤축과의 관계 위치를 유지하며 베어링을 윤활하게 하고, 외부로부터 빗물, 먼지 등의 침입을 막는 동시에 베어링을 거쳐서 차량의 하중을 차축에 전하는 구실을 한다.


액슬 하우징(axle housing)

종감속장치와 차동기어장치, 액슬 샤프트를 감싸는 튜브. 종감속장치가 들어있는 부분의 형식에 따라 밴조 악기 모양과 비슷한 밴조형, 하우징을 거의 중앙에서 좌우로 분할한 스플릿형,종감속장치와 캐리어에 액슬 샤프트의 케이스를 붙인 형식의 빌드업형이 있다.


액슬(axle)

액슬은 '굴대, 차축'의 뜻. 액슬은 안쪽의 스플라인을 통해 차동기어장치의 사이드 기어 스플라인에 끼워지고 바깥쪽은 구동 바퀴에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한다. 앞 차축을 프런트 액슬, 뒤 차 축을 리어 액슬이라고 한다.


액슬비 (Axle Ratio)

엔진의 회전수와 구동바퀴의 회전수의 비율.


액추에이터(actuator)

1. 전기,유압,압축 공기 등을 사용하는 원동기의 총칭으로서, 보통은 유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 일을 하는 기기를 말한다. 2. 액추에이터는 피트먼 암으로부터 조향력을 받아 조정밸가 움직이도록 한다. 이 액추에이터의 역할은 피트먼암의 회전운동을 밸브스풀을 움직여 동력실린더를 작동시켜 조향력을 앞바퀴에 전달한다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 시스템(ANC active noise control system)

자동차 실내에 소음 저감장치의 명칭.직렬 4기통 엔진에서 엔진회전 2배의 주파수로 발생하는 100~200Hz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하여 4명의 승객 머리 부분에서 음향계 테스터의 마이크를 들고 잡음의 정도가 검출되면 컨트롤러에 의하여 잡음을 좌우 앞좌석 밑에 설치된 스피커로 보내어 순간적으로 저감시키는 장치


액티브 머플러(active muffler)

배기음 저감장치로 머플러 내에 스피커를 넣어 배기소음 중의 기류음과 역위상의 음을 내면 음파가 서로 상쇄되어 기류음이 적어진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


액티브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

스프링과 쇽업소버 대신 공기압이나 유압으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사용. 각종 센서로 자동차와 노면상태를 컴퓨터에 의하여 감지하여 주행 상태를 조정하고 서스펜션으로서 작용시키는 시스템. 컴퓨터가 짧은 순간에 상황을 판단하고,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자동 조절하는 것으로서 액티브라 불린다. 일반적으로 스프링과 쇽업소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상수나 쇽업쇼버의 감쇠력을 변화시키는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이 있다. 또한 공기나 가스를 사용하여 스프링 작용을 하는 저주파 진동만을 액티브에 제어하는 저주파 액티브 서스펜션 등도 있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와 서브 밸브만으로 작용하는 서스펜션을 풀 액티브 서스펜션이라 한다


앤티롤 바(antiroll bar)

자동차의 롤링을 적게 하는 장치. 선회하는 자동차가 하중 이동으로 외측 서스펜션이 크게 휘어져 옆으로 쏠리는 것처럼 기우는데 앤티는 반대의 뜻으로 좌우 서스펜션을 바로 연결하여 롤링 현상을 적게 하려고 하는 것. 앤티롤 바는 굵을수록 롤 강성이 커지며, 선회중에는 토션바로도 작용하므로 서스펜션은 지나치게 딱딱해져 조정성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자동 차의 안정을 좋게 한다는 뜻으로 스태빌라저, 영어에서는 앤티스웨이바라고도 부른다


앤티롤 장치(antiroll system)

자동차가 언덕길에서 일시정지 하였다가 다시 출발할 때 차가 뒤로 구르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다.


어셈블리 (Assembly)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가 된 부품을 말한다. 보통은 줄여서 아세이(ass'y)라고도 한다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

차를 몰 때 운전자는 핸들을 잡고 있어서 몸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지만, 다른승객은 그렇지 못하다. 그때문에 마련된 것이 어시스트 그립으로 손잡이의 하나이다. 대부분이 도어 위쪽에 잡을 수 있게 붙어있으나 뒷자석 승객을 위해 앞좌석의 등에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ABS의 어큐물레이터는 모듈레이터 내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감압 신호와 유지 신호가 전달될 때 일시적으로 브레이크 오일을 저장하고, 중압시에는 스프링의 힘으로 휠 실린더 쪽으로 브레이크 오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언더 스티어링(under steering)

언더는 부족, 스티어는 조종 및 조타의 뜻이다. 오우버 스티어링의 반대로 뒷바퀴에 발생하는 코오너링 포오스가 크게 되면 오른쪽방향의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04 / 2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새댓글


알림 0